히드로코르티손 vs 플루오시놀론, 클로베타솔 – 강도별 스테로이드 비교와 임상 활용 기준
연고 성분 이름이 치료 방향을 바꾼다피부과 진료 후 연고를 처방받거나 약국에서 스테로이드 연고를 구입할 때, 제품에 쓰인 성분 이름이 서로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히드로코르티손, 플루오시놀론, 클로베타솔 등은 모두 스테로이드 제제지만, 그 강도와 적용 부위, 사용 원칙은 크게 다릅니다. 특히 스테로이드 연고는 국제적으로 ‘강도 등급’에 따라 구분되며, 같은 농도라도 성분의 특성에 따라 작용력이 수십 배까지 차이 날 수 있습니다. 잘못된 강도의 연고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효과가 없을 수도 있고, 반대로 부작용이 심해질 수도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대표적 스테로이드 연고인 히드로코르티손(저강도), 플루오시놀론(중강도), 클로베타솔(고강도)의 특성과 임상 적용 기준을 비교 분석합니다. 강도 기준 – 얼마나..
2025. 5. 19.
히드로코르티손과 국소 면역 억제 – T세포, 사이토카인, 염증 경로 억제 분석
단순한 연고가 아니다,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분자 생물학적 작용스테로이드는 염증만 억제하는 약물이 아닙니다히드로코르티손은 피부과 질환에서 흔히 사용하는 연고이지만, 그 작용은 단순한 진정 효과에 머물지 않습니다. 실제로 이 약물은 인체 면역계의 세포 신호 전달을 억제하고, 염증을 일으키는 유전자 발현 자체를 차단하는 기능을 가집니다. 특히 면역 반응의 핵심을 담당하는 T림프구(T세포), 사이토카인, 항원제시세포(APC) 등의 활성 억제는 히드로코르티손이 자가면역 질환, 이식 거부 반응, 아토피, 만성 염증 질환 치료에 널리 활용되는 생리학적 기반이 됩니다. 국소 적용이라고 해서 그 작용이 단순하다고 볼 수는 없으며, 실제로는 매우 정교한 세포 및 분자 수준의 면역 조절이 작동합니다. 본 글에서는 히드로코..
2025. 5. 14.
히드로코르티손과 덱사메타손, 차이점과 사용 기준
같은 스테로이드지만 완전히 다른 강도와 목적스테로이드라는 단어는 많은 사람들에게 익숙하면서도 불안하게 느껴지는 단어입니다. 하지만 스테로이드라고 해서 모두 같은 약은 아닙니다. 실제로 의료 현장에서 사용되는 스테로이드 제제는 수십 가지가 있으며, 각각 작용 강도, 지속 시간, 투여 경로, 목적이 다릅니다. 그중에서도 히드로코르티손과 덱사메타손은 자주 비교되는 대표적인 약물이지만, 두 약물은 단순히 ‘세게 작용하느냐, 약하게 작용하느냐’로만 나눌 수 없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 두 스테로이드의 구조적 차이, 작용 강도, 임상적 사용 기준 등을 중심으로, 언제 어떤 상황에 어느 쪽이 적절한지 구체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올바른 스테로이드 사용은 단순히 약 성분을 아는 것이 아니라, 그 목적과 제한을 함께 이해..
2025. 5.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