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테로이드8

히드로코르티손 스테로이드 유도 부신억제의 회복 메커니즘 HPA 축 억제 후, 우리 몸은 어떻게 다시 균형을 되찾는가?약을 끊었다고 끝이 아니다스테로이드 치료 후, 환자가 가장 간과하기 쉬운 문제 중 하나는 부신피질 기능 억제입니다. 외부에서 코르티솔과 동일한 기능을 가진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장기간 투여할 경우, 우리 몸의 스트레스 호르몬 조절 체계인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이 억제됩니다. 많은 환자들이 스테로이드를 끊은 후에도 이상 피로감, 저혈압, 저혈당, 식욕 부진, 우울감 등을 호소하는 것은 단순 금단이 아니라, 내분비 기능이 회복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본 글에서는 스테로이드 유도 부신억제가 생기는 과정과 회복 메커니즘, 회복까지 걸리는 시간, 그리고 회복 여부를 진단하는 방법들을 종합적으로 다룹니다. 부신억제란? – HPA 축의 피드백 시스템이 .. 2025. 5. 20.
히드로코르티손 vs 플루오시놀론, 클로베타솔 – 강도별 스테로이드 비교와 임상 활용 기준 연고 성분 이름이 치료 방향을 바꾼다피부과 진료 후 연고를 처방받거나 약국에서 스테로이드 연고를 구입할 때, 제품에 쓰인 성분 이름이 서로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히드로코르티손, 플루오시놀론, 클로베타솔 등은 모두 스테로이드 제제지만, 그 강도와 적용 부위, 사용 원칙은 크게 다릅니다. 특히 스테로이드 연고는 국제적으로 ‘강도 등급’에 따라 구분되며, 같은 농도라도 성분의 특성에 따라 작용력이 수십 배까지 차이 날 수 있습니다. 잘못된 강도의 연고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효과가 없을 수도 있고, 반대로 부작용이 심해질 수도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대표적 스테로이드 연고인 히드로코르티손(저강도), 플루오시놀론(중강도), 클로베타솔(고강도)의 특성과 임상 적용 기준을 비교 분석합니다. 강도 기준 – 얼마나.. 2025. 5. 19.
히드로코르티손과 국소 면역 억제 – T세포, 사이토카인, 염증 경로 억제 분석 단순한 연고가 아니다,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분자 생물학적 작용스테로이드는 염증만 억제하는 약물이 아닙니다히드로코르티손은 피부과 질환에서 흔히 사용하는 연고이지만, 그 작용은 단순한 진정 효과에 머물지 않습니다. 실제로 이 약물은 인체 면역계의 세포 신호 전달을 억제하고, 염증을 일으키는 유전자 발현 자체를 차단하는 기능을 가집니다. 특히 면역 반응의 핵심을 담당하는 T림프구(T세포), 사이토카인, 항원제시세포(APC) 등의 활성 억제는 히드로코르티손이 자가면역 질환, 이식 거부 반응, 아토피, 만성 염증 질환 치료에 널리 활용되는 생리학적 기반이 됩니다. 국소 적용이라고 해서 그 작용이 단순하다고 볼 수는 없으며, 실제로는 매우 정교한 세포 및 분자 수준의 면역 조절이 작동합니다. 본 글에서는 히드로코.. 2025. 5. 14.
저용량 히드로코르티손, 처방 없이 써도 괜찮을까? 쉽게 살 수 있다고 모두 안전한 건 아닙니다약국에서 특별한 처방전 없이 구매 가능한 연고 중 하나가 히드로코르티손입니다. 특히 0.5% 또는 1% 농도의 저용량 제품은 일반의약품으로 분류되어 누구나 간편하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처방 없이도 살 수 있다’는 점만 보고 히드로코르티손을 단순한 진정제나 가려움 완화제 정도로 여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제는 바로 그 접근입니다. 저용량이라고 해도 이 약물은 면역 억제와 염증 조절 작용을 가진 스테로이드이기 때문에, 잘못 사용하면 피부에 부작용을 남길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저용량 히드로코르티손이 왜 일반의약품인지, 실제로 안전한지, 그리고 자가 사용 시 어떤 기준을 지켜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왜 저용량 히드로코르티손은 일반의약품인.. 2025. 5. 7.
히드로코르티손과 덱사메타손, 차이점과 사용 기준 같은 스테로이드지만 완전히 다른 강도와 목적스테로이드라는 단어는 많은 사람들에게 익숙하면서도 불안하게 느껴지는 단어입니다. 하지만 스테로이드라고 해서 모두 같은 약은 아닙니다. 실제로 의료 현장에서 사용되는 스테로이드 제제는 수십 가지가 있으며, 각각 작용 강도, 지속 시간, 투여 경로, 목적이 다릅니다. 그중에서도 히드로코르티손과 덱사메타손은 자주 비교되는 대표적인 약물이지만, 두 약물은 단순히 ‘세게 작용하느냐, 약하게 작용하느냐’로만 나눌 수 없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 두 스테로이드의 구조적 차이, 작용 강도, 임상적 사용 기준 등을 중심으로, 언제 어떤 상황에 어느 쪽이 적절한지 구체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올바른 스테로이드 사용은 단순히 약 성분을 아는 것이 아니라, 그 목적과 제한을 함께 이해.. 2025. 5. 7.
히드로코르티손 연고의 안전한 사용법과 주의사항 효과는 높이고 부작용은 피하는 현명한 활용법히드로코르티손 연고는 피부 질환 치료에 자주 사용되는 약물이지만, ‘스테로이드’라는 단어만으로도 부담스럽게 느끼는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 장기간 사용하면 부작용이 생긴다는 이야기나, 얼굴에 바르면 피부가 얇아진다는 우려 때문에 연고 사용을 꺼리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그러나 히드로코르티손은 저용량 스테로이드로 분류되며, 정확하게 사용하면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합니다. 문제는 약 자체보다 ‘사용법을 잘 몰라서’ 생기는 부작용입니다. 이 글에서는 히드로코르티손 연고를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과 반드시 주의해야 할 사항들을 구체적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기본 원칙 – 얼마나, 어떻게, 어디에 바를까?히드로코르티손 연고는 기본적으로 1일 1~2회, 필요한 부위에.. 2025. 5. 7.